학술대회를 탄소중립으로 운영하기 위해 행사 전과정의 탄소발자국을 산정하고, 일회용품 사용을 줄여 탄소감축 노력을 이행하였으며, 남은 배출량은 산림청의 산림탄소 흡수량을 구매하여 탄소중립을 달성했습니다. 앞으로 실제적인 탄소배출량 관리와 감축 노력을 통해 환경적 책임을 다하고자 하는 실천하겠습니다.
본 학술대회는 행사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과학적인 방법론에 기반하여 정밀하게 산정하였습니다.
ISO14067 국제 표준에 준하여 이루어졌으며, 학술대회의 탄소발자국을 명확히 파악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되었습니다.
2024년 대비 2025년 탄소배출량 현황
2024년 전과정평가학회와 2025 전과정평가학회는 동일한 장소에서 진행하였으며, 2024년 12,091.9 kgCO2e에서 2025년 3,058.5 kgCO2e로 약 74.7% 대폭 감소하였습니다. 1인당 탄소배출량은 2024년 40.3 kgCO2e에서 2025년 15.3 kgCO2e로 약 62.0% 으로 감소하였습니다.
Action 2. 주요 감축 및 관리 노력
2024 하계학술대회와 동일한 장소에서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총 탄소배출량과 1인당 배출량이 크게 감소한 것은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지속가능성 노력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정보공개
행사 전 과정의 탄소배출량을 ISO14067 국제 표준에 준하여 투명하게 산정하고 공개
정보공개행사 전 과정의 탄소배출량을 ISO14067 국제 표준에 준하여 투명하게 산정하고 공개
참가자 이동정보 수집
참가자 이동으로 인한 배출량의 실제적인 감축 효과를 더욱 신뢰성 있게 파악 가능
참가자 이동정보 수집참가자 이동으로 인한 배출량의 실제적인 감축 효과를 더욱 신뢰성 있게 파악 가능
다회용기 사용 확대
식사 및 다과 제공 시 '라라워시'와 같은 전문 다회용기 대여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
다회용기 사용 확대식사 및 다과 제공 시 '라라워시'와 같은 전문 다회용기 대여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
디지털전환
종이 자료집 대신 QR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문서로 전면 대체 및 일부 배너를 폐자원 활용해 제작
디지털전환종이 자료집 대신 QR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문서로 전면 대체 및 일부 배너를 폐자원 활용해 제작
2024년 22.8 kgCO2e에서 2025년 33.6 kgCO2e로 배출량이 증가했습니다. 2025년에 종이, 천, 목재 현수막 사용 및 대여품목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추가되고, 명찰/입장권 등 친환경 물품 도입에 따른 배출량이 포함되면서 측정 범위가 확대되었기 때문입니다. 실제 배출량 증가보다는 산정의 정확도가 높아진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향후에는 대여품목의 재사용 횟수 증대 등 실제적인 감축 방안 모색이 필요합니다.
폐기물 부문
2024년과 동일하게 37 kgCO2e로 배출량에 변화가 없었습니다. 총 참가 인원이 줄었음에도 동일한 배출량을 기록했다는 것은 1인당 폐기물 배출량이 증가했을 가능성을 의미하며, 폐기물 감축을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예: 분리수거 강화, 발생원 감량)
한국전과정평가학회의 미래
한국전과정평가학회는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산정된 탄소배출량을 기반으로, 남은 탄소발자국을 상쇄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여 탄소중립 행사를 달성할 것입니다. 단순히 배출량을 줄이는 것을 넘어, 학회의 환경적 책임과 지속가능성 목표를 완수하겠습니다.
학회는 앞으로도 정밀한 탄소배출량 산정 및 분석을 지속하고, 각 부문별 데이터에 기반한 실질적인 감축 목표를 설정하여 더욱 지속가능한 학술대회 운영 모델을 구축해 나갈 것입니다.